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9일 인구 50만 이상 기초 시군 중 출생아 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누리집에 따르면 평택시의 지난해 출생아 수는 지난 2023년보다 10.8% 증가한 411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인구 50만 이상 기초 시군 중에서는 평택시에 이어 ▲경기 수원시(9.0%) ▲경기 화성시(7.4%) ▲경기 안양시(6.7%) ▲경기 파주시(5.1%) ▲경기 용인시(4.8%) ▲경기 성남시(4.5%) ▲경기 남양주시(3.2%) ▲경기 시흥시(2.7%) ▲경기 고양시(2.7%) ▲경남 창원시(0.8%) ▲충북 청주시(0.8%)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3.1%의 출생아 증가율을 기록했다. 높은 출생아 증가율과 관련해 평택시는 취업자 수, 젊은 층의 유입, 주택 보급, 높은 혼인율 등이 작용한 결과로 설명했다. 실제 평택시의 취업자 수는 지난 2013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평균연령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45.3세)과 경기도(43.6세)보다 낮은 41.9세를 기록했다. 특히 평택 고덕동의 경우 평균연령이 33.1세로 수도권 읍면동 중 가장 젊은 도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19일 지난해 출산율이 1.0명으로 지난 2021년 대비 합계출산율이 다소 높아졌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국가통계포털에 지난 12일 발표된 ‘2022년 전국 시군구 합계출산율’에 따르면 전국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1년 보다 3.7% 감소한 0.778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합계출산율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0.839명으로 기록됐다. 반면 평택시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1년 대비 0.3% 증가한 1.028명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대비 32%, 경기도 평균 대비 23% 높은 수치다. 합계출산율이란 한 여성이 가임기간인 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한 국가나 사회의 출산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현재의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합계출산율이 2.0명 이상을 기록해야 하지만 국내 합계출산율은 지난 1984년부터 2.0명 아래로 내려갔고 2018년에 1.0명보다 낮아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택시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0명 이상을 유지했으며 전국적 추세와 달리 지난 2021년보다 증가한 특징을 보였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시군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