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소방서(서장 강봉주)는 지난 3일 ‘서해대교 화재’ 진압 과정 중 순직한 (고)이병곤 소방령에 대한 순직 제9주기를 맞아 국립대전현충원과 행담도(이병곤 소방령 흉상 소재)에서 추모행사를 개최했다. 고 이병곤 소방령은 지난 2015년 12월 3일 서해대교 주탑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교량 케이블이 끊어지면서 순직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서해대교 주탑 상층부에 방수포가 설치되는 등 소방시설이 대폭 개선됐고 또한 소방공무원의 처우개선을 위한 이병곤 플랜이 추진돼 안심하고 활동할 수 있는 근무환경 개선과 복지가 대폭 향상됐다. 또 지난 10월 5일에는 순직 소방공무원을 기억하고 일상 속 추모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제1회 국민과 함께 119 메모리얼데이’가 평택시 포승읍 소방관 이병곤길 일원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이번 추모행사에는 경기도의회 윤성근의원과 전·현직 소방공무원 20여명이 참석해 고인에 대한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헌화, 분향, 묵념을 진행했다. 강봉주 서장은 “국민의 안전이 위협받는 절체절명의 순간, 투철한 사명과 뜨거운 용기로 소방공무원으로서의 소임을 다한 이병곤 소방령을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추모했다.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소방서(서장 강봉주)는 1일 ‘서해대교 화재’ 진압 과정 중 순직한 고 이병곤 소방령에 대한 순직 제8주기를 맞아 국립대전현충원과 행담도(이병곤 소방령 흉상 소재)에서 추모행사를 거행했다.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최일선에서 열정을 다해 복무하고 많은 후배 소방공무원의 귀감이 됐던 이병곤 소방령은 안타깝게도 지난 2015년 12월 3일 서해대교 주탑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교량 케이블이 끊어지면서 순직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서해대교 주탑 상층부에 방수포가 설치되는 등 소방시설이 대폭 개선되고 또한 이병곤 플랜 프로젝트로 소방공무원 근무환경 개선 및 소방력 확보로 각종 재난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마련했다. 순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소방관 이병곤길’이 서해대교가 정면으로 보이는 평택항 국제터미널 입구부터 만호사거리까지 750m 구간으로 조성됐다. 이번 추모행사에는 강봉주 서장 등을 비롯해 전·현직 소방공무원 20여명과 함께 고인의 숭고한 정신을 기렸다. 강봉주 서장은 “이병곤 소방령을 비롯해 많은 순직 소방공무원의 숭고한 정신을 영원히 기억하겠다”며 “소방관들이 안전한 현장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는 21일 올해 1월 6일 평택시 청북읍 소재 냉동창고에서 화재 진압 도중 순직한 송탄소방서 이형석 소방경, 박수동 소방장, 조우찬 소방교 유족들이 평택시 지역사회 장학기금으로 1억 5000만원을 기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유족들은 순직 소방공무원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이어받은 미래의 지역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장학사업의 장학금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평택행복나눔본부는 지난 18일 평택시사회복지협의회에서 송탄소방서 순직 소방공무원 유족들과 협약식을 진행했으며 유족들은 각각 5000만원씩 총 1억 5000만원을 장학금으로 후원하고 나눔본부를 통해 3년 동안 매년 장학생 50명을 선발해 1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고 이형석 소방경의 자녀 이유리 씨는 “순직 소방공무원의 숭고한 뜻이 장학금을 받는 청소년들에게도 전해지길 바란다”며 “모든 소방 공무원분들의 노고에 항상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최병일 경기소방재난본부장은 “어려운 결정을 내려주신 유가족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이번 기부를 통해 순직 소방공무원들을 기억하며, 예우와 존경의 뜻을 전한다”고 했다. 정형민 평택시청 복지국장은 “평택시 저소득 가정의 청소년에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화재진압을 위해 투입됐던 소방관 3명이 순직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서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11시 46분쯤 평택시 청북읍 고렴리에 소재한 물류창고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 3명이 실종됐으나 끝내 숨진 채 발견됐다. 현장 인부들은 모두 무사히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6일 수색을 통해 이들 3명을 발견했다. 화재는 물류창고 1층 현장에서 발생 된 것으로 신고됐으며 소방당국은 소방차 24대를 비롯해 장비 57대와 190여명의 인원을 투입했으나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6일 3시 현재 소방당국은 잔불을 정리하고 있으며 수일 내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화재 현장 건물은 지난 2020년 12월 20일 구조물 붕괴로 현장 작업자 5명이 추락해 3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