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시장 정장선) 안중보건지소는 이달부터 흡연자들의 구강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흡연자를 위한! 구강 건강관리 프로젝트’를 이달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15일 보건지소에 따르면 ‘흡연자를 위한! 구강 건강관리 프로젝트’는 흡연이 구강 건강에 얼마나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흡연자들에게 알리고 금연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금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보건소 금연 클리닉과의 연계를 통해 흡연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요인, 치주질환 자가진단 체크 안내문 배부 및 올바른 칫솔질 방법 영상을 통한 비대면 교육이 이뤄진다. 특히 구강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금연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흡연을 줄이거나 끊는 방법에 대한 상담도 제공된다. 이를 통해 흡연자들에게 금연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도록 유도한다. 보건지소 관계자는 “흡연자에게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강 건강의 심각성을 알려 금연을 촉구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더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 송탄보건소(소장 조민수)는 3월부터 보건소 한 번의 방문으로 신체 계측부터 건강상담 및 교육, 필요 부서 연계까지 원스톱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증진통합서비스’ 사업을 운영 중이다. 7일 보건소에 따르면 ‘건강증진통합서비스’ 사업은 신체 계측(체성분 검사 및 혈당·고지혈증 검사, 복부둘레, 혈압)결과와 건강행태 및 생활 습관 조사 설문을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필요한 교육 및 상담, 필요 사업 연계로 사업 간 대상자 정보 공유 및 연계를 강화해 대상자 중심의 건강증진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또 보건소 방문이 힘든 청·장년층 성인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활용하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손쉽게 받아볼 수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은 다음 달부터 대상자를 모집해 오는 5월부터 11월까지 선정된 건강위험군에 대해 앱과 활동량계를 활용해 전문가의 건강상담 등의 서비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송탄보건소 건강증진통합서비스 및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의 내용은 카카오채널 ‘송탄보건소 건강정보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전화(031-8024-7258)로 문의하면 된다.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는 28일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인 ‘AI.IoT기반 어르신건강관리_오늘건강’ 시범사업 대상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AI.IoT기반 어르신 건강관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건강증진 서비스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노인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한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지난 2020년 11월부터 시작된 사업이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또는 허약 등으로 생활습관 개선을 희망하는 만65세 이상 노인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은 스마트폰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 혈압계 등 디바이스 4종을 대여받아 6개월간 가정에서 스스로 만성질환을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건강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건소의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홀몸노인 등 사회적 지지자원이 부족한 노인들에게는 AI생활스피커가 추가로 대여된다. 올해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노인 보건소 만성질환팀(평택 031-8024-4440, 송탄 031-8024-7298, 안중 031-8024-8649)으로 문의하면 된다. 보건소 관계자는 “AI・IoT를 활용한 어르신건
클릭평택 이석구 기자 / 평택시는 오는 7월 1일부터 출산 산모의 건강한 산후 회복과 신생아의 양육을 지원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확대 지원한다고 밝혔다. 22일 시에 따르면 정부지원 대상은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출산가정에 국한되나 시는 자체예산을 추가 확보해 기존 예외기준(소득, 거주기간)을 폐지하고 시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출산가정의 산모에게 지원한다.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 등 출산 지원 강화를 위해 평택시에서는 지난 2018년부터 지원 대상을 꾸준히 확대해 왔으며 이번 소득 및 거주기간 제한 폐지로 많은 산모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서비스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호 평택보건소장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대책 발굴로 지역 내 출산 친화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출산예정 40일전부터 출산 후 30일까지 산모의 주소지 관할 보건소(또는 온라인‘복지로’)로 신청 가능하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평택보건소 누리집(홈페이지) 또는 전화(031-8024-4351, 7246)로 문의하면 된다.